본문 바로가기
시니어 건강 중심 헬스케어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체중부하 운동법 3가지

by 공부서랍 2025. 5. 25.
반응형
반응형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체중부하 운동법 3가지

뼈를 튼튼하게 만드는 ‘체중 부하 운동’, 지금 시작하세요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가 낮아져 작은 충격에도 골절 위험이 커지는 질환입니다.
특히 중장년층이나 폐경기 이후 여성은 더 쉽게 발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체중을 이용해 뼈에 자연스러운 자극을 주는 운동,
즉 **체중부하 운동(weight-bearing exercise)**을 꾸준히 하면
골밀도를 유지하고 골절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누구나 실내에서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체중부하 운동법 3가지를 소개합니다.


1. 제자리 걷기 – 매일 실천 가능한 뼈 자극 운동

제자리 걷기는 걷는 동작을 반복하며
체중이 발과 다리뼈를 통해 골반, 척추까지 전달되게 하여
전신의 골밀도를 고르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방법:

  1. 편안한 자세로 선 후 팔을 자연스럽게 흔들며 제자리 걷기
  2. 무릎은 가능한 한 높게 들고 리듬감 있게 진행
  3. 하루 10~15분, 오전·저녁 2회 진행 권장

장점:

  • 실내에서 언제든지 가능
  • 균형감각과 하체 근력 강화에도 효과적

2. 스텝박스 오르내리기 – 하체 뼈 자극에 탁월

스텝박스나 낮은 계단을 이용한 오르내리기 운동
하체에 반복적인 충격을 주며 골밀도 증가에 도움을 줍니다.
계단을 오르내리는 단순한 동작이지만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목 관절까지 모두 사용됩니다.

방법:

  1. 안정적인 발판 또는 낮은 계단 준비 (15~20cm 권장)
  2. 한 발씩 올라갔다 내려오는 동작을 반복
  3. 양쪽 번갈아 15~20회, 2세트

주의점:

  •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천천히 실시
  • 발판은 미끄럽지 않은 곳에 고정

3. 벽 짚고 하프 스쿼트 – 척추와 골반 뼈 강화

일반 스쿼트가 부담스러울 경우,
벽을 짚고 하는 하프 스쿼트는 훨씬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허벅지, 골반, 척추 주위의 뼈와 근육을 자극합니다.

방법:

  1. 벽 앞에 서서 양발 어깨 너비로 벌리고 벽에 양손 짚기
  2. 천천히 무릎을 30~45도 굽힌 상태에서 5초 유지
  3. 다시 천천히 올라오기, 10~15회 반복

효과:

  • 엉덩이 근육과 허벅지 전면 강화
  • 골반과 허리 주변 뼈에 체중 전달 자극

결론: ‘가벼운 자극’이 뼈 건강의 핵심입니다

체중부하 운동은 무거운 기구나 고강도 운동이 아닙니다.
자신의 체중을 활용해 뼈에 자극을 주는 간단한 움직임만으로도
골다공증 예방과 진행 억제에 큰 도움이 됩니다.
매일 10~20분씩 꾸준히 실천한다면
약물 없이도 건강한 뼈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