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을 두려워하던 제가, 60일 만에 컴활 1급을 따낸 이야기. '가능성'은 정말 누구에게나 있어요.
안녕하세요! 컴활 1급 준비 중이신 분들께 정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씁니다. 저는 컴퓨터를 업무에서 어느 정도 다루는 일반 직장인이었지만, 자격증에는 자신이 없었어요. 그런데 회사를 옮기면서 스펙이 필요해졌고, 무작정 시작해봤죠. 그렇게 두 달 만에 필기, 실기 모두 한 번에 붙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공부한 방법, 사용한 자료, 실패할 뻔했던 순간들까지 다 솔직하게 공유할게요.
목차
왜 컴활 1급을 따기로 결심했나?
원래 자격증에는 별 관심이 없었지만, 이직을 준비하면서 ‘컴활 1급’이 생각보다 많은 채용 조건에 포함돼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엑셀도 잘 못 다루던 저에게는 진짜 큰 도전이었죠. 하지만 도전해보길 잘했다고 느낍니다. 취업, 승진, 평가에 전천후로 도움이 되더라고요.
2개월 공부 계획표 (필기 + 실기)
하루에 1~2시간씩만 투자했어요. 꾸준함이 핵심입니다.
주차 | 학습 내용 |
---|---|
1~2주차 | 필기 요약 정리 + 기출 3개년 분석 |
3~4주차 | 필기 모의고사 반복 + 오답 정리 |
5~6주차 | 실기 엑셀 파트 집중 학습 + 실습 |
7~8주차 | 실기 액세스 + 실전 모의고사 반복 |
실제로 사용한 교재 및 유튜브 강의
너무 많아도 오히려 비효율적이더라고요. 아래 3가지만 집중했어요.
- 이기적 컴활 1급 필기 교재 (개념 + 기출 통합)
- 유튜브 ‘자단기컴활’ 실기 강의 – 무료지만 퀄리티 최고
- 엑셀/액세스 실습용 프로그램 + 기출파일 반복 연습
실기에서 시간을 아끼는 핵심 팁
컴활 1급 실기는 시간이 부족한 시험이에요. 실수 한 번이면 합격 커트라인을 못 넘기기 때문에 ‘속도’와 ‘정확성’ 모두 중요합니다. 제가 실제로 활용한 시간 절약 팁을 공유드릴게요.
- 수식은 반드시 ‘외워서 타이핑’ – 함수창 클릭 금지!
- 셀 서식 단축키
Ctrl + 1
무조건 활용 - 문제 순서대로 풀지 말고, 쉬운 것부터 점수 확보
- 평균, 합계는
Alt + =
단축키로 2초 컷 - 시험 직전 실전 모의고사 5회 이상 연습
멘탈 흔들렸던 순간과 극복법
저도 수차례 멘탈이 흔들렸어요. 특히 실기 액세스에서 자꾸 틀릴 때는 진짜 포기할 뻔했죠. 아래는 그런 위기 상황에서 제가 써먹은 대처법입니다.
위기 순간 | 대처 전략 |
---|---|
엑셀 실기 점수가 60점대에 머무를 때 | 틀린 문제만 집중 복습 + 유사 유형 모아 재풀이 |
액세스 관계형 설정 자꾸 오류 | 데이터베이스 구조 먼저 파악 후, 차근히 따라감 |
시험 2주 전 슬럼프 | 하루 휴식 + 유튜브로 합격 후기 시청하며 동기 부여 |
합격 후 느낀 점과 다음 스텝
합격 후 가장 먼저 느낀 건 ‘왜 진작 안 했을까?’였습니다. 엑셀과 액세스를 배우면서 실제 업무 효율도 높아졌고, 이직 시장에서도 확실히 경쟁력이 생겼어요. 이제는 워드프로세서나 ERP 정보관리사까지 도전해볼까 합니다. 이 자격증은 시작일 뿐이에요!
네. 문과 출신, 사무직 초보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핵심은 반복 실습이에요.
대부분 실기를 더 어렵게 느낍니다. 특히 시간 제한이 부담돼요.
아니요. 요즘은 유튜브 무료 강의만으로도 충분히 커버됩니다.
실기 기준, 단축키 복습 + 기출 1회분 풀고 마무리하세요.
자격증이라는 건 결국 ‘도전’의 기록이에요. 그 도전이 크든 작든, 나 자신을 위한 투자라는 점은 같죠. 컴활 1급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딴 뒤에는 더 많은 기회를 열어주는 열쇠가 됩니다. 지금 준비 중인 여러분도 분명 합격할 수 있어요. 주저 말고 도전해보세요. ‘한 번에 붙는 후기’를 꼭 남기게 될 거예요!
'자격증·이직·커리어 전략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 실무에 도움 되는 IT 교육 추천 (2) | 2025.04.12 |
---|---|
HRD 교육과정, 회사 다니면서 가능할까? (2) | 2025.04.12 |
연봉 협상 전에 알아야 할 커리어 전략 (1) | 2025.04.11 |
직장인 학위취득, 현실 가능한가? (7) | 2025.04.11 |
외국어 독학 꿀팁, 꾸준함을 만드는 비결 (2) | 2025.04.11 |